친권양육
협의상 이혼시 부부는 일방 혹은 공동으로 친권에 대한 행사를 합의할 수 도 있고, 양육자와 친권자를 달리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협의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가정법원이 이를 정합니다.
친권자는 민법 제913조, 914조에 따른
자녀를 보호 교양할 권리, 거소지정권, 영업허락권 등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친권자에게는 또한 민법 제916조에 따른 자녀가 취득한 자녀명의 특유재산에 관한 관리권, 민법 제920조에 따른 자녀의 재산에 관한 법률행위에 대한 대리권, 민법 제5조 내지 제8조에 따른 자녀가 스스로 하는 재산행위에 관한 동의권 등이 있습니다.
거소지정이나 징계, 수술 동의 등 자녀의 신체상의 문제, 그리고 교육의 내용, 학교의 선정, 신앙생활 등을 양육자가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단, 민법 제5조에 따라 친권자의 권한으로 규정되어 있는 자녀재산에 관한 대리권등 대외적인 법률행위는 양육자가 행사할 수 없습니다.
이혼시 부모는 민법 제837조 제1항에 의하여 장차 자녀를 누가 맡아 양육할 것인지와 양육하지 않는 상대방은 양육비로서 얼마를 양육자에게 지급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만일, 부부간에 협의를 성립하지 않거나 할 수 없는 때에는 가정법원이 이를 결정하게 됩니다.
양육자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우선적으로 ‘자녀 자신의 이익’을 기준으로 하는바, 이러한 관점에서 자녀의 연령, 성별, 부모의 재산상황, 직업, 양육자 자신의 희망내용, 다른 가족과의 관계, 가정, 학교, 사회 등에의 자녀의 적응능력, 부모의 양육희망 등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양육자는 반드시 부모 중 일방만이 아니라 시부모, 친정 부모. 기관 등 제3자를 양육자로 선정할 수 도 있습니다.
그 양육기간에 관하여 특별히 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녀가 성년에 달할 때까지입니다.
가정법원은 필요한 경우 적당한 기간을 정하여 양육자를 변경하는 처분을 할 수도 있습니다.
양육하지 않는 일방, 또는 제3자가 양육하는 경우에는 그 부모는 다른 일방 내지 제3자에게 양육비를 지급하여야 합니다.
판례는 자녀는 부양의무자인 양육자가 부양하지 않는 경우 자기가 직접 또는 자기의 법정대리인을 통하여 장래 자기가 성년에 이르기까지의 부양료(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고, 양육한 일방이 상대방에게 임의로 지출한 양육비의 상환을 청구할 수 있으며, 장래 소요될 양육비도 청구할 수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소송 진행 중에는 사전처분(가사소송법 제62조 제1항)에 의하여 친권, 양육자 임시지정, 양육비 임시 지급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양육비채무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2회 이상 양육비를 지급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아직 이행일시가 도래하지 않은 양육비채권을 집행채권으로 하여 양육비채무자의 고용자(소득세원천징수의무자)로 하여금 양육비채권자에게 직접 양육비를 지급하도록 명령하는 제도로, 양육자로 하여금 보다 간편하게 양육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가사소송법 제63조의 2항)